양자(Quantum)의 정의와 개념
위키백과사전에서는 양자를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최소량의 에너지 단위로서 물질에서 상호작용과 관련된 모든 물리적 독립체의 최소단위' 라고 정의한다. 양자가 에너지와 물질의 가장작은 단위라는 것이다. 그외의 다양한 과학서적들과 과학자들이 언급하는 양자의 정의와 개념을 정리해보면,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다.
양자 정의
'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물질의 최소 입자가 입자이면서 동시에 파동의 성질을 가지는 최소량의 에너지 단위.'
' 전자나 스핀하는 소립자들이 양전하(+)와 음전하(-)의 성질을 가지고 양자화되어 불연속적으로 파동하는 에너지 덩어리.'
'10–33m~10-40m의 초극미세영역에서 소 입자들의 파장, 자장, 파동인 에너지 상태.'
양자의 개념
양자 상수(Planck Constant) - ' 플랑크 상수 값’h‘인 6.6260755×10-34J·s.으로 파동하는 최소단위의 물리량. ’
양자 점프(Quantum Jump) - ' 입자가 빛,열의 자극을 받아 띄엄띄엄의 궤도전이, 즉 에너지 도약을 하는 독특한 파동현상.'
양자 중첩(Quantum Superposition) - ' 원자 내 불확정으로 존재하는 입자들의 얽힘 현상으로 아원자의 동시다발적 에너지 상태.'
양자터널링(Quantum Tunneling) - '원자의 핵 입자가 강력보다 낮은 에너지 상태에서도 확률적으로 원자밖으로 튀어나가는 현상.'
The main Point of Chapter5 -
우리 몸은 약 60여가지의 다양한 원자들이 다양한 다른 원자와 만나 자기 고유의 성질을 버리고 갖가지 지방 분자, 탄수화물 분자, 비타민 분자, 단백질 분자와 같은 고유의 분자를 구성한다.
또 그 분자들이 100조 개의 세포를 이룬다. 신체는 ~장기 ~ 조직~ 세포 ~ 분자 ~ 원자 ~ 아 원자(양성자. 중성자. 전자) ~ 더 작은 아원자들인 소립자로 구성되어 있다. 100만 분의 1m인 1 마이크로(µm)크기의 세포가 유기체의 기본단위이지만, 세포에는 무려 10-9m 인 10억 분의 1m , 즉 1나노(nm)정도의 DNA 단백질과 탄수화물, 지방, 비타민, 물분자들이 무려 수십억~200억개가 들어있다.
그리고 각각의 분자는 10-10m 인 100억 분의 1m , 즉 1옹스트롬크기의 원자들로 북적거린다. 그리고, 원자는 10-12m 인 1조 분
의 1m인 원자핵, 핵을 구성하는 10-15m인 1000조분의1m, 즉 1펨토(fm)크기의 양성자와 중성자, 그리고 핵주위에서 구름처럼 확률로 존재하며 파동 하는 입자들인 전자는 10-18m ~ -20m인 1해분의 1m(100아토.am)이온화가되어 원자가 분자가 되도록, 분자는 원자가 되도록 양자수에따라 이화되거나 동화된다.
세포를 구성하는 단백질분자뿐만 아니라, 탄수화물분자, 지방분자, 비타민분자, 물분자 및 미네랄까지 이온화(ionization)되지 않으면 활성에너지를 갖을 수 없다. 즉 양자화(quanti zation)되어있기에 갖을 수 있는 에너지이다.
모든 효소, 물, 선구물질등에의한 체내의 변화무쌍한 영양 분자들의 이화동화작용인 결합과 분리행위의 주인공은 원자내의 전자들의 +,-이온활동이다. 즉 나노 이하의 +, - 이온 전하들의 전자기적 작용에 의한다. ‘소가 대를 통제 ’ 하는 원칙아래 정보, 기능, 특성이 시작된다 !
불필요한 원소, 원자가 그 공유결합의 통제를 방해할 때 영양소들도 제 기능을 할 수 없게 될 것이고, 그 부조화로 질병이 유발된다. DNA 단백질의 부조화인 암의 시작도, 바로 이온들의 전자교란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렇다면 세포가 제기능을 하는 건강한 세포로 회복되려면 어디에서부터 조절이 필요한 것인가?
디지털 물리학적 관점에서
유기체내에서 세포 ~ 분자 ~ 원자 ~ 전자 ~ 아 원자 이온들의 미세한 양자 물리적 작용을 이해하고
디지털 생물학적 관점에서
유기체내에서 세포 ~ 분자 ~ 원자 ~ 전자 ~ 아 원자 이온들의 에너지 생산, 유지, 손실, 회복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디지털 전자과학의 관점에서
유기체내에서 세포 ~ 분자 ~ 원자 ~ 전자 ~ 아 원자 이온들의 생체전류의 전자기장의 신호생성 및 전달 네트워크를 이해하고
디지털 생체의학적 관점에서
유기체내에서 세포 ~ 분자 ~ 원자 ~ 전자 ~ 아 원자 ~ 이온 수용체들의 구조적 생리적기능과 상호 융합적 연관성을 이해 한 후에